아이 등하원 차량 마련 전, 엄마의
골목길 적응기 무거운 마음으로 핸들
을 잡았어요아이가 어린이집에 입학하고
부터 등하원이 점점 버거워졌어요. 택
시를 타기엔 비용이 아깝고, 비 오는
날이면 유모차를 밀고 걷는 것도 여
간 힘든 일이 아니었어요. 매일 반복
되는 거리인데도 아이가 피곤해하는 모
습을 보면 마음이 짠했지요. 그래서
결국, 미뤄둔 결정을 꺼냈어요. 장롱
에 넣어둔 운전면허증을 다시 꺼내기로
요. 바로 장롱면허운전연수를 받겠다는
결심이었어요. 골목이 무서운 나를
바꾸기로 했어요연수를 시작한 첫날,
제일 먼저 맞닥뜨린 건 바로 골목길이
었어요. 넓은 도로는 고사하고, 골목
에서조차 가슴이 벌렁거리는 기분이 들
었어요. 옆에 주차된 차들 사이로 조
심조심 지나가다 보니, 땀이 줄줄 흐
르더라고요. 강사님은 차보다 마음이
먼저 안정돼야 해요라고 말씀해주셨어요
. 그 말이 가슴에 와닿았어요.둘째
날엔 아이 어린이집 근처를 중심으로
연습을 했어요. 이른 아침, 등굣길
차량과 보행자가 뒤섞이는 시간대였죠.
브레이크를 밟을 타이밍, 깜빡이 넣
는 순서조차 헷갈려서 식은땀이 났어요
. 그래도 강사님은 옆에서 조곤조곤
설명해주셨어요. 덕분에 장롱면허운전연
수의 힘을 조금씩 느끼기 시작했지요.
셋째 날, 어린이집 앞 불법주정차된
차량 사이로 차를 세우는 연습을 했어
요. 아이를 데리러 와야 하니 당연히
해봐야 할 일이었죠. 그런데 주차
공간이 너무 좁아 앞뒤 여유가 거의
없다시피 했어요. 처음엔 핸들을 이리
저리 돌리다가 차가 삐뚤어져 버렸고,
후진 중엔 옆차를 박을 뻔했어요.
강사님이 거울 보는 습관부터 다시 잡
자고 하셔서 거울 체크부터 집중했어요
. 눈보다 감각을 믿는 습관이 결국
바뀌더라고요.넷째 날은 등하원 동선을
전체적으로 돌며 실전 주행을 했어요
. 좌회전, 우회전, 횡단보도 정지선
등 연습했던 모든 걸 조합해서 직접
판단하며 가는 연수였어요. 실전이니
만큼 도로 상황도 다양했지요. 버스가
옆으로 바짝 붙어와도 침착하려고 노
력했어요. 강사님은 차가 오는 건 당
연한 거예요, 반사적으로 움츠러들지
말고 내가 지나갈 길을 먼저 봐요라고
하셨지요. 한마디로 길을 읽는 감각
이 중요하다는 말씀이었어요.마지막 날
에는 내 차로 연수 차량을 바꿨어요.
강사님은 이제 익숙해졌으니 실전 감
각을 몸에 붙여야 해요라고 말씀해주셨
죠. 아이가 탈 차량이니 더욱 조심스
럽고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더라고요.
미세한 브레이크 감각, 엑셀 반응 속
도, 핸들 조작까지 하나하나 내 차
특성을 익혀가는 시간으로 채웠어요.
장롱면허운전연수를 통해 나를 바꾸는
연습이자, 아이를 위한 첫 책임감을
다지는 과정이었어요. 이제는 웃으며
아이를 태울 수 있어요연수를 마친 후
, 저는 매일 아침 아이를 태우며 차
창 너머로 웃어요. 예전 같으면 불가
능했던 일이죠. 등하원 시간만 되면
불안해하던 제 모습은 이제 없어요.
장롱면허운전연수는 단순히 운전법만 가
르쳐주는 게 아니었어요. 좁은 골목에
서 여유를 찾고, 신호등 앞에서 스스
로 판단할 수 있는 용기를 키우게 해
줬지요.무엇보다도, 아이가 제 차에
타며 엄마 멋져요라고 말해줬을 때의
기분은 이루 말할 수 없었어요. 그
한마디에 모든 긴장과 두려움이 사라졌
어요. 나도 할 수 있다는 말이 이제
는 빈말이 아니에요. 장롱면허운전연수
를 통해 저는 실제로 변화했고, 그
변화는 아이와 함께하는 일상 속에서
매일 증명되고 있어요.이제 아이와 함
께 주말 나들이를 계획해요. 가까운
공원도 좋고, 조금 먼 도서관도 괜찮
아요. 예전 같으면 버스를 갈아타야
했을 길을, 이제는 제 차로 함께 가
기로요. 그리고 그 모든 시작은 장롱
면허운전연수였어요.이제는 골목도 두렵
지 않아요. 내일도 그 길을 달릴 준
비가 되어 있어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