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광시좡족자치주(广西壮族自治区) 난닝시(南宁市)에서 지난 1일 열린 중국-동남아국가연합(ASEAN) ‘국제자동차 부품 발전논단’에서 중국 공정원 궈쿵후이(郭孔辉) 원사는 “중국의 자동차 문화는 다른 나라와 달리 중국만의 독특한 색을 띤 권위적인 ‘가마 문화(轿子文化)’”라고 밝혀 주목을 끌었다.
궈 원사는 “중국의 ‘가마 문화’는 중국의 자동차 문화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”며 “중국인들이 승용차를 ‘가마차(자오처, 轿车)’라 부르는 것에서부터 ‘가마’와 ‘자동차’의 연관성을 잘 알 수 있다”고 말하고, 중국 자동차 문화의 3가지 특징에 대해서 설명했다.
◆ 중국인은 가마처럼 넓고 큰 자동차를 선호한다.
궈 원사에 따르면 중국에서 엔진룸과 승객실만 있는 형태인 '2박스형 자동차'(两厢车)가 엔진룸, 승객실, 트렁크 구분이 뚜렷한 형태인 '3박스형 자동차'(三厢车)로 바뀐 것은 중국인의 '가마문화(轿子文化)' 때문이다. 제다(捷达), 푸캉(富康), 샤리(夏利), 쉐톄룽(雪铁龙) 등 유럽에서 판로가 좋은 자동차 스타일들은 중국 진출 초기 모두 2박스형이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3박스형으로 바뀌었다.
궈 원사는 “이런 변화는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‘가마문화’와 밀접한 연관을 지닌다"며 "3박스형은 2박스형에 비해 더 넓고 크며, 과거의 가마와 더 가까운 스타일이어서 더 위엄있어 보이고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 쉽다"고 설명했다.
◆ 중국에서 소형차 몰면 무시 당한다.
궈 원사는 “중국 도로를 달리는 대부분의 자동차는 중형급 이상이며, 중국에서는 중형 이상의 자동차, 가격이 비싼 자동차일수록 더 많이 잘 팔린다”고 분석했다.
궈 워사에 따르면 중국 일부 도시에서는 한동안 소형 자동차의 도로 주행을 금지하는 규정이 있었고 소형 자동차를 타고 다니면 무시해, 해외 자동차 기업들은 중국에서는 몇 천만 위안의 고급 자동차만 팔아야 한다는 말이 나오기까지 했다.
◆ 중국인 국산 자동차 쳐다도 안 본다.
궈 원사에 따르면 중국인들은 국산 자동차보다 수입 자동차를 선호해 중국도로에는 세계의 모든 브랜드 자동차들이 달리고 있을 정도로 수입자동차를 많이 볼 수 있다. 중국 자동차인 샤리(夏利) 자동차에 외국 상표를 붙여 팔 경우 몇 만 위안을 더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중국인들은 수입 자동차에 열광한다.
실제로 일부 사람들은 이치(一氣)에서 나오는 ‘웨이러(威乐)’ 자동차를 산 뒤 원래 상표를 떼어내고 다른 외국 상표를 붙이는 경우도 많다. 또 회사에서도 공무용 차량을 구입할 때 수입 자동차에 배기량이 크고 비싼 자동차를 우선적으로 구입 명단에 올려놓는다.
궈 원사는 “이 같은 중국의 자동차 소비 현상은 중국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‘3박스형 자동차’를 고집하는 심리는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려는 권위주의에서 비롯된 것”이라며 “중국은 자동차 문화에서도 전통적 봉건주의를 읽을 수 있는데, 이는 좀더 호화 고급차를 타려는 치열한 경쟁으로 이어진다”고 지적했다. [온바오 전성애]
궈 원사는 “중국의 ‘가마 문화’는 중국의 자동차 문화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”며 “중국인들이 승용차를 ‘가마차(자오처, 轿车)’라 부르는 것에서부터 ‘가마’와 ‘자동차’의 연관성을 잘 알 수 있다”고 말하고, 중국 자동차 문화의 3가지 특징에 대해서 설명했다.
◆ 중국인은 가마처럼 넓고 큰 자동차를 선호한다.
궈 원사에 따르면 중국에서 엔진룸과 승객실만 있는 형태인 '2박스형 자동차'(两厢车)가 엔진룸, 승객실, 트렁크 구분이 뚜렷한 형태인 '3박스형 자동차'(三厢车)로 바뀐 것은 중국인의 '가마문화(轿子文化)' 때문이다. 제다(捷达), 푸캉(富康), 샤리(夏利), 쉐톄룽(雪铁龙) 등 유럽에서 판로가 좋은 자동차 스타일들은 중국 진출 초기 모두 2박스형이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3박스형으로 바뀌었다.
궈 원사는 “이런 변화는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‘가마문화’와 밀접한 연관을 지닌다"며 "3박스형은 2박스형에 비해 더 넓고 크며, 과거의 가마와 더 가까운 스타일이어서 더 위엄있어 보이고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 쉽다"고 설명했다.
◆ 중국에서 소형차 몰면 무시 당한다.
궈 원사는 “중국 도로를 달리는 대부분의 자동차는 중형급 이상이며, 중국에서는 중형 이상의 자동차, 가격이 비싼 자동차일수록 더 많이 잘 팔린다”고 분석했다.
궈 워사에 따르면 중국 일부 도시에서는 한동안 소형 자동차의 도로 주행을 금지하는 규정이 있었고 소형 자동차를 타고 다니면 무시해, 해외 자동차 기업들은 중국에서는 몇 천만 위안의 고급 자동차만 팔아야 한다는 말이 나오기까지 했다.
◆ 중국인 국산 자동차 쳐다도 안 본다.
궈 원사에 따르면 중국인들은 국산 자동차보다 수입 자동차를 선호해 중국도로에는 세계의 모든 브랜드 자동차들이 달리고 있을 정도로 수입자동차를 많이 볼 수 있다. 중국 자동차인 샤리(夏利) 자동차에 외국 상표를 붙여 팔 경우 몇 만 위안을 더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중국인들은 수입 자동차에 열광한다.
실제로 일부 사람들은 이치(一氣)에서 나오는 ‘웨이러(威乐)’ 자동차를 산 뒤 원래 상표를 떼어내고 다른 외국 상표를 붙이는 경우도 많다. 또 회사에서도 공무용 차량을 구입할 때 수입 자동차에 배기량이 크고 비싼 자동차를 우선적으로 구입 명단에 올려놓는다.
궈 원사는 “이 같은 중국의 자동차 소비 현상은 중국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‘3박스형 자동차’를 고집하는 심리는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려는 권위주의에서 비롯된 것”이라며 “중국은 자동차 문화에서도 전통적 봉건주의를 읽을 수 있는데, 이는 좀더 호화 고급차를 타려는 치열한 경쟁으로 이어진다”고 지적했다. [온바오 전성애]
☞ 구조에 따른 자동차 분류 1박스 : 네모난 상자 모양의 차를 말한다. 타우너, 베스타, 그레이스와 같은 승합차가 이에 해당된다. 1.5박스 : 기본 모양이 2박스와 같지만 엔진룸 부분이 아주 작은 스타일. 요즘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다목적 차에 많으며, 한국차 중에는 스타렉스가 이에 해당한다. 2박스: 엔진룸과 승객실만 있는 형태이다. 트렁크는 승객실에 포함, 오래전부터 왜건 모델에 쓰였고, 1980년대 이후 앞바퀴 굴림 차가 유행하자 소형차 디자인으로 인기를 얻었다. 3박스: 차체를 옆에서 보았을 경우 엔진룸, 승객실, 트렁크 구분이 뚜렷한 형태. 적당한 실내 공간을 얻을 수 있는 준중형급 이상의 차가 주로 이 스타일을 고집한다. 미국에서는 세단, 영국에서는 설룬, 독일에서는 리무진 등 나라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. |